본문 바로가기

생각하게 하는 글

법륜스님 명언 (초등학교 1학년의 공격성)

pixabay

 

당신은 부모냐, 학부모냐

 

한 엄마가 "초등학교 1학년 아이가 화가 나면 공격성을 보이고 말을 함부로 합니다.

 

어떻게 해야 할지 걱정이에요"라며 하소연을 했습니다.

 

지금 많은 엄마 아빠가 부모 노릇은 포기하고 학부모 노릇만 하고 있어요.

 

애가 공부 잘하고 나중에 출세하는 데만 급급해서 어릴 때부터 아이들을 잡는 거예요.

 

진정한 부모라면 '자식의 행복한 미래를 위해 목숨이라도 바치겠다'라는 희생정신이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부모가 자식을 위해 희생하겠다는 마음은 없고, 자식을 자신의 욕망을 대신

 

충족시키는 수단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아이들에게 정신적인 문제가 생기는 거예요.

 

초등학교 1학년이면 한창 해맑은 얼굴로 즐겁게 뛰어놀 나이예요.

 

그런데 아이가 화를 내고 공격적이란 건 스트레스가 많이 쌓였다는 겁니다.

 

부모가 아이를 따뜻하게 안아 주지 않고 내치기만 한 데서 비롯된 거예요.

 

이것은 엄마가 스트레스가 많고 분노가 많다는 뜻이기도 해요.

 

이렇게 된 근본 원인은 남편에 대한 불만에서 시작되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남편에게 화가 나니까 살림도 하기 싫고, 아이가 다가오는 것도 귀찮아 짜증 내듯

 

아이에게 함부로 대한 거예요.

 

아이들은 부모의 행동에 굉장히 민감합니다. 부모가 행복하면 아이도 행복하고

 

부모가 불행하면 아이도 불행합니다. 엄마 아빠가 아이들이 없을 때만 싸운다 해도

 

아이가 모르는 게 아닙니다. 하루 이틀은 몰라도 몇 년씩 지속되면 아이도 집안의 분위기를

 

눈치챕니다. 오히려 아이들은 더 빠르게 감지해요. 왜냐하면 아이들은 촉수가 보모를

 

향해 있기 때문에, 부모의 감정이 어떤 상태인지를 빨리 느낍니다.

 

따라서 부모가 형식적으로 '애들 보는 앞에서 싸우지 말자.' 이렇게 해서는 문제가 해결되지 않습니다.

 

아무 말을 안 해도 집안에 도는 냉랭한 기운만으로 아이들은 느낍니다. 사실 부부가 어쩌다 한 번

 

싸우는 것은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아요.  부부가 기본적으로 다정하면 가끔 싸우는 일이 벌어지더라도

 

아이에게는 큰 상처가 안됩니다.  오히려 부모가 말다툼도 별로 안 하는 것 같은데 분위기가 냉랭하고

 

서로 소 닭 보듯이 하면, 아이에게 정신적으로 굉장히 큰 부담을 주게 됩니다.

 

따라서 아이를 위해서라도 엄마가 먼저 화목하게 지내려고 노력해야 합니다.

 

이때 '왜 남편에게는 하라고 안 합니까?"라고 문제를 제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아이들이 크는 데 아빠보다 엄마의 비중이 훨씬 더 크다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비중은 어릴 때일수록

 

더 크게 차지합니다.  엄마들 입장에서야 의무와 책임에 대한 부담으로 불평등하다고 생각할지 몰라도, 실제로

 

이런 헌식적인 사랑 때문에 아이들은 아빠보다 엄마를 더 따르고 찾는 겁니다.

 

늘 보살펴주고 안아 주었기 때문에 엄마를 그리워하고, 놀라거나 넘어져도 보통은 '아빠' 하지 않고 '엄마'하고

 

부릅니다. 아이에게 엄마는 자신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수호신인 거예요. 그런데 엄마가 자기 권리만 이야기하고

 

자기가 하고 싶은 것 못한다고 불만스러워한다면, 아이가 어디서 따뜻한 사랑을 느낄 수 있겠어요.

 

 

만약 남편 없이 혼자 아이를 키우다면 엄마가 고생하는 걸 자식이 보도록 하는 게 아이의 정신 건강에 좋아요.

 

곁에서 돌봐주지 못하지만, 그래도 자기를 버리지 않고 혼자 몸으로 애써서 키우려 한다는 걸 아이들도

 

안다면 오히려 상처 받지 않아요. 아이들에게 필요한 건 '엄마가 나를 사랑하는구나' 하고 느끼는 거예요.

 

그게 가장 중요해요.

 

 

<법륜스님 엄마 수업 중에서>